Lecture
농업수자원의 효과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물수요와 물공급 간에 과부족이 일어나지 않고 안정적인 물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하는 부분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있다. 본 과목은 효과적 농업수자원의 이용을 기술 습득을 위해 강우-유출, 저수시설의 분류, 저수시설의 용량 설정, 저수지 운영, 수자원시스템, 댐의 분류, 홍수 관리대책, 수자원종합개발, 물 경제, 물에 관한 법령 및 제도 등에 대해 소개하고 농업을 위한 수자원의 체계적인 계획과 관리를 위한 이론, 선진국의 수자원에 관한 법률, 수자원 조사 및 계획 과정, 수자원 시스템의 설계 및 해석 등을 강의한다.
It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and increase agricultural water use efficiency since a water is a vital component of agricultural production. This course will develop the capacity of students to plan and manage the agricultural water resource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key concepts, approaches, theories, and practices associated with the effective and sustainable water resource management in agricultural areas. In addition, the student will visit the field. The key topics covered in this course include:1) principles and practices of water resource planning and management and 2) water management policies and economics at reg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본 교과목은 국제농업분야에서 관측과 실험에 의해 얻어진 결과와 자료를 분석하고 시각화 하기 위한 기본적인 컴퓨터 프로그래밍 방법 (Python) 및 적용사례를 강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과목에서는 프로그래밍 기초, 변수와 자료형, 함수, 제어문, 자료 분석을 위한 패키지, 분석결과 시각화 방법에 대하여 강의할 것이다. 학생들은 국제농업연구에 필요한 자료수집 및 분석, 자료의 시각화 등을 위한 기본적인 프로그래밍의 기법에 대해 학습한다.
This course introduces the fundamental principles and methods of computer programming for students without prior programming experience. The lecture topics include programming fundamentals, data structures, conditional statement, designs with function, packages for data analysis, and data visualization. In this course, the students will have an opportunity to use the Python programming language to analyze and visualize the data.
본 교과목은 농촌환경정보분석에 필요한 원격탐사기법과 지리정보시스템(GIS) 활용기술을 습득하고 실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성영상분석 및 지리정보시스템 적용을 위해 필요한 이론적 및 방법론적 지식을 강의하고 ArcGIS 프로그램, 영상촬영 및 분석프로그램의 실습을 통해 농촌환경 정보분석 및 지속적인 관리방안을 찾기 위해 필요한 농촌환경정보분석 기술의 활용 능력을 높이도록 한다.
This course introduces the fundamental principles and methods to acquire the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using the remote sensing technologie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he topics include spatial data analysis, elementary satellite image interpretation, digital image processing and current issues and application of GIS. In this course, the students are encouraged to be familiar with various techniques for spatial data analysis and to develop the practical capability of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nalysis.
본 교과목은 농촌의 미래 환경 예측을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 분석 방법 및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Python 프로그램을 통해 예측 방법론을 구현하고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교과목을 통해 최근 농촌환경예측 방법론의 적용사례를 살펴보고 토론하며 실습하게 함으로써 그린에코공학에서 농촌환경예측 기술의 활용 능력을 습득하게 하고자 한다.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the data analysis technologies and algorithms needed to predict the future trends of agricultural environment from the current data using the computer programming (Python). The topics to be covered include: introduction to Python programming, database design, fundamental principles of machine/deep learning, and discuss and review of current data analysis technologies and algorithms. Through lectures and laboratory exercises, the students will learn how to prepare data for analysis and predict future trends from data using the machine/deep learning and Python.
국제농촌유역관리공학은 농촌유역의 환경에 영향을 미치거나 영향을 받는 모든 자연환경, 토지이용계획, 기후변화 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농촌유역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방안을 공학적, 사회적, 경제적 요소를 고려하여 마련하는 학문 학문으로 유역환경영향 예측 및 평가 기법의 원리와 응용에 대하여 학습하며, 이와 관련한 오염물질의 이동, 확산, 변화에 관한 물리, 화학, 생물학적 현상을 이해하도록 한다. 농업 및 농촌에서의 지속가능하고 건전한 유역환경관리와 계획에 필요한 과학 원리, 수학적 이론, 사회경제적 이론에 관한 기초 지식과 응용지식을 습득시킴으로서 향후 국제농촌유역관리관련 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In this course, students can acquire the knowledge and specific skills necessary for the sustainable watershed management. The key contents covered in this course include 1) the introduction to the concept of watershed management, 2) the sustainable watershed approach & watershed management practices, 3)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4) watershed modeling, 5) social aspects of watershed management, 6) use of modern techniques in watershed management, 7) management of water quality, 8) storm water and flood/drought management, 9) water conservation and recycling, and 10) watershed management policies and decision making.